형식
<if 조건문>
if ( 조건식 ) {
수행문1;
}
*간단한 예제 : 입력한 정수가 짝수인지 확인하여 출력하기.
int num = 100;
if (num % 2 == 0) // 조건식
System.out.println("짝수입니다."); // 수행문
<if - else 조건문>
if ( 조건식 ) {
수행문1;
}
else {
수행문2;
}
*간단한 예제 : 짝수인지 아니면 홀수인지 구분하여 출력하기.
int num = 100;
if (num % 2 == 0) // 조건식
System.out.println("짝수입니다."); // 수행문1
else
System.out.println("홀수입니다. "); // 수행문2
삼항연산자
-> if - else 조건문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.
*위의 if - else 예제를 삼항연산자로 표현.
int num = 100;
System.out.println((num % 2 == 0) ? "짝수입니다." : "홀수입니다.") ;
백준 코드 작성
* 백준 1330번 : 두 수 비교하기
if - else문으로 코드 작성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A = sc.nextInt(); // Scanner클래스를 사용하여 A,B 입력받기
int B = sc.nextInt();
sc.close();
if(A > B) {System.out.println(">");}
else if(A < B) {System.out.println("<");}
else System.out.println("==");
}
}
삼항연산자로 코드 작성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A = sc.nextInt();
int B = sc.nextInt();
sc.close();
System.out.println((A > B)? (">") : ((A < B) ? "<" : ("==")));
}
}
* 백준 2753번 : 윤년
if - else문으로 코드 작성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years = sc.nextInt();
sc.close();
if(years % 4 == 0) {
if(years % 400 == 0) {System.out.println("1");}
else if(years % 100 == 0){System.out.println("0");}
else {System.out.println("1");}
}
else System.out.println("0");
}
}
삼항연산자로 코드 작성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years = sc.nextInt();
sc.close();
System.out.println((years % 4 == 0)? ((years % 400 == 0) ? "1" : (years % 100 == 0) ? "0" : "1") : "0");
}
}
다음 글에서는 while 반복문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!
2021.06.28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hile /do - while 반복문 (0) | 2021.06.29 |
---|---|
if - else 반복문 문제 풀이 (0) | 2021.06.29 |
여러 가지 연산자 (0) | 2021.06.26 |
상수 및 형변환 (0) | 2021.06.25 |
변수 및 자료형 (0) | 2021.06.24 |